지식Story 19

회개하면 된다고요? 회개 그게 그렇게 쉽게 되는 게 아닙니다.

회개한다는 것은 사과한다는 것과 비슷한 의미일까? “사람은 그럴 수 있어!” 설명하지 않아도 사람은 누구나 실수 또는 잘못을 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렇다고 해서 잘못된 행동들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그럴 수 있다는 것은 사람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객관적 관점에서 포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실수나 과오가 일어났다는 것은 이미 발생한 사건의 결과이다. 이 결과에 대해 우리는 모두 이해할 수 있으니 그 원인과 대처에 대해 사건의 당사자가 설명이나 행동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 결과의 대상이 개인이나 소규모일 경우에는 사과하며 보상을 하면 된다. 하지만 대상이 본질적인 의미의 자기 자신이거나 하나님일 경우에는 회개해야 한다. 사과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에 대한 반응이지만, 회개는 자신의 ..

지식Story 2025.07.06

사람에게 실망했을 때, 그게 기독교인이라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게 듣는다.

“일주일 내내 죄짓고 살다가, 주일 하루 교회가서 용서를 비는게 신앙이냐? 그럴 바엔 차라리 교회를 가지 않는게 더 양심적인 사람 아니냐?” 비신자들이 크리스찬을 향해하는 비난의 말이다. 여기에 대해 여러 가지 변명의 말을 할 수 있겠지만, 성경에서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논리적으로 한 번 살펴보자. 교인이 이런 말을 듣는다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이지만 그 속에는 긍정의 의미도 있다. 지금까지 크리스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도덕적인 면에서 일반인들보다 우위에 있는 집단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정보화 시대는 정치, 종교 등 각분야의 다양한 소식들을 쉽게 접하게 되면서,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는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충격들은 일반인들이 쉽게..

지식Story 2025.07.05

인도 선교사 스콧을 죽음에서 살린 찬송가 '주 예수 이름 높이여'

복음을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는 인도 내부의 깊숙한 곳에 야만인이 살고 있다는 말을 듣고 스콧 목사는 그곳으로 가기로 한다. 주변의 만류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짐을 챙겨 그곳으로 떠났다. 여러 날을 여행하다 한 곳에 이르자, 야만인들이 창을 들고 스콧목사 앞을 막으며 애워샀다. 그들이 들고 있는 창끝은 스콧 목사를 향하고 있었으며 스콧 목사는 죽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그 때 그는 자신이 가지고 간 바이올린을 꺼내어 연주하며 부른 곳이 '주 예수 이름 높이여' 이 곡이었다. 놀랍게도, 스콧 선교사님의 찬양을 들은 원주민들의 태도가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얼굴에 가득했던 적개심이 사라지고, 경이로운 표정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결국 그들은 스콧 선교사님에게서 창을 거두고 그에게 복음을 들을 수 있는..

지식Story 2025.05.09

찬송가에 대해 우리가 얼마만큼 알고 있을까?

내가 찬양에 관하여 관심을 가진 것은 1980년 대부터이다.길다면 긴 시간 속에서 직접 경험한 찬양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그 역사에 대해 다뤄 볼 생각이다. 그 아이디어를 10가지를 먼저 정리해 본다. 1. 우리가 몰랐던 익숙한 찬송가의 비밀: 숨겨진 멜로디의 출처일부 찬송가 멜로디가 외국 국가나 세속 가요에서 비롯된 역사적 사실을 다룬다. 2. 찬양으로 이끈 기적의 역사: 성경 속 찬양의 힘성경에서 찬양이 전쟁이나 어려움 속에서 하나님의 개입과 승리를 가져온 사례들을 탐구한다. 3. 시편부터 CCM까지: 기독교 찬양의 시대별 변천사 고대 시편 찬양부터 초기 교회 찬송, 종교개혁 시대의 찬송가, 복음성가, 그리고 현대의 CCM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음악의 역사적 흐름과 스타일 변화를 조명한다.4. 그냥 노..

지식Story 2025.05.06